본문 바로가기
Essay

먼지 -보이지 않는 것의 무서운 힘-

by Sinclair R. 2019. 5. 2.

아주 미세한 입자라도 볼 수 있는 현미경이 있다고 해보자. 이 현미경을 내 몸에다 물끄러미 비추면 내가 어떤 사람인지 파악할 수 있다고 먼지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말한다. 도서관의 사서라면 책 먼지를, 밭을 일구는 농민이라면 흙먼지를 아니면 원두를 볶는 바리스타라면 커피의 가루먼지가 몸에 알게 모르게 붙어 사람의 흔적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눈에 잘 보이지도 않는 먼지는 이렇게 우리의 삶을 보여주기도 하면서 또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먼지란 무엇일까? 먼지는 세밀한 입자의 물질이다. 사람의 머리카락 굵기가 보통 100이라면 먼지는 63보다 작은 크기의 물질이다. 대체로 우리 주변을 떠도는 먼지는 아주 작아서 중력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 공기 중에 부유한다. 책상 위에 빈 컵이 올려진 것을 상상해보라. 사람 눈에는 컵 속에 아무 물질도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대략 25천 개의 작은 먼지 입자들이 부유하고 있다. 그렇다면 부유하는 모든 먼지가 사람에게 영향을 미칠까? 인체는 외부의 큰 덩이의 먼지로부터 막아낼 수 있도록 진화해왔기 때문에 부유하는 모든 먼지가 사람에게 큰 영향을 미치진 않는다. 자연에서 만들어진 대부분의 먼지는 호흡을 통해 내부로 들어와 코, 목구멍, 폐를 통해 자연스럽게 걸러지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든 먼지를 사람의 몸으로 걸러내진 못한다. 인체 거름망을 뚫고 들어올 수 있는 아주 작은 입자의 먼지 또한 이 세상에 존재한다. 그들은 아주 쉽게 사람의 폐 속 깊이 침투할 수 있다. 산업화로 인해 만들어지는 유독성 먼지들 대부분이 인체의 방어막을 뚫을 수 있을 정도로 미세하며 화학 물질과 금속을 포함하고 있어 치명적이다. 우리의 일상은 그 위협으로부터 그대로 노출된다. 눈 코 입뿐만이 아니라 아주 미세한 입자는 피부의 작은 모공을 통해 통과 흡수되고 암을 유발하거나 걸러지지 않고 그대로 폐로 들어가게 되어 병을 일으킨다.

보건 전문가들은 작은 먼지가 미국에서만 해마다 수천 명의 목숨을 앗아갈 수 있다는 사실에 위기감을 느낀다. 2012년에는 호주, 스웨덴, 영국, 네덜란드, 브라질 이 다섯 국가가 세계적으로 국민 천식 환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천식은 선진국에서 발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2018CDC(Centers for Disease and Prevention)에 따르면 현재 미국은 2600만명이 천식으로 고생하고 있으며 13명 중 1명이 천식이라고 보고하고 있을 정도로 천식 환자 수가 많다. 천식 발병원인에 대해서 명확하게 규명된 것이 없지만 이러한 현상에 천식 연구가들은 선진국의 천식 환자 및 호흡기 질환 환자 수의 증가와 실내 먼지와의 관계성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왜 개발도상국의 환경보다 더 살기 좋은 환경의 선진국에서 천식 환자 수가 많은 것일까? 가장 신뢰성이 높은 연구에 의하면 선진국 실내가정에 유해한 화학 먼지양의 증가가 천식발병율의 증가와 가장 관련성이 높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실내가정의 화학 먼지 증가는 바로 살충제 사용의 증가이다.

레이첼 카슨이 <침묵의 봄>에서 경고했던 살충제의 위협은 실내가정까지 만연하게 잠식해 있음을 실내가정용 살충제가 보여준다. 시중 판매되는 가정용 살충제의 제품설명서는 살충제를 뿌린 후 4시간 동안 환기를 시키면 인체에 무해한 듯 설명되어 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았다. 미국 직업건강 과학연구소에서 환경과학을 연구하는 과학자 리오이와 동료들은 가정용 살충제가 얼마동안 가정에 잔류하는지 측정한 결과 시간이 지날수록 실내에 비치된 섬유와 플라스틱에서 화학먼지가 고농도로 검출되었고 하루 반이 지나자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해충피해를 막으려다 도리어 잔인한 화학 먼지를 집 안 구석구석 들여놓은 격이다. 보일 리가 없는 실내유해 먼지를 아이들은 손에 묻혀 입으로 가져가고 코로 들이쉬고 있으니, 실내 해충 걱정할 만큼 여유 있는 선진국 천식 환자의 수의 증가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눈에 보이는 게 다가 아닌 것처럼, 보이지 않는 먼지는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은 막대하며 사람이 환경에 가한 행적을 드러내는 지표가 된다. 이렇듯 먼지는 심각한 위협이 되는 존재로 우리에게 다가와, 사람들이 얼마나 환경에 악영향을 끼쳤는지 잔인하게 깨닫게 해준다.

 

 

 

참고문헌

Holmes, H. and , . (2003). 먼지(The secret life of dust). New York: Wiley.

Aerobit Health. (2019). Countries With Highest Numbers Of Asthma Patients - Aerobit Health. [online] Available at: https://aerobithealth.com/8-countries-with-high-numbers-of-asthma-patients/ [Accessed 1 May 2019].

Aafa.org. (2019). Asthma Facts | AAFA.org. [online] Available at: https://www.aafa.org/asthma-facts/ [Accessed 1 May 2019].

'Ess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루미 구하기  (0) 2020.02.28
GMO 논란에 대한 의문  (0) 2019.05.02
대한민국 미세먼지의 역사  (0) 2019.03.25
Bird Strike  (0) 2019.03.15
손 씻고 난 후 당신의 선택  (0) 2019.03.11

댓글